'장해분류표'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3.04.04 LIG대중교통무료상해보험 장해분류표 by 9won
반응형

 

 

 

 

LIG대중교통무료상해보험 장해분류표

 

 

 

 

【별표1】장해분류표

 

. 총칙

 

1. 장해의 정의

1)  장해라 함은 상해 또는 질병에 대하여 치유된 후 신체에 남아있는 영구적인 정신 또는 육체의 훼손상태를 말한다.다만, 질병과 부상의 주증상과 합병증상 및 이에 대한 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장해에 포함되지 않는다.

2)  영구적이라 함은 원칙적으로 치유시 장래 회복의 가망이 없는 상태로서 정신적 또는 육체적 훼손상태임이 의학적으로 인정되는 경우를 말한다.

3)  치유된 후라 함은 상해 또는 질병에 대한 치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되고 또한 그 증상이 고정된 상태를 말한다.

4) 다만, 영구히 고정된 증상은 아니지만 치료종결후 한시적으로 나타나는 장해에 대하여는 그 기간이 5년 이상인 경우 해당장해 지급률의 20%를 보험가입금액에 곱하여 산출한 금액을 지급합니다.

 

2. 신체부위

“신체부위”라 함은 씹어먹거나 말하는 기능 외모 척추(등뼈) 체간골 다리 손가락 발가락 흉ㆍ복부 장기 및 비뇨생식기 신경계ㆍ정신행동의 13개 부위를 말하며, 이를 각각 동일한 신체 부위라 한다.다만, 좌ㆍ우의 눈, , , 다리는 각각 다른 신체부위로 본다.

 

3. 기타

1) 하나의 장해가 관찰방법에 따라서 장해분류표상 2가지 이상의 신체부위 또는 동일한 신체부위에서, 하나의 장해에 다른 장해가 통상 파생하는 관계에 있는 경우에는 각각 그 중 높은 지급률만을 적용한다.

2) 의학적으로 뇌사판정을 받고 호흡기능과 심장박동기능을 상실하여 인공심박동기 등 장치에 의존하여 생명을 연장하고 있는 뇌사상태는 장해의 판정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3) 장해진단서에는 장해진단명 및 발생시기 장해의 내용과 그 정도③ 사고와의 인과관계 및 사고의 관여도 향후 치료의 문제 및 호전도를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한다.다만, 신경계ㆍ정신행동 장해의 경우 간병여부 객관적 이유 및 간병의 내용을 추가적으로 기재하여야 한다.

 


. 장해분류별 판정기준

 

1. 눈의 장해

 

.장해의 분류 

1)두눈이 멀었을 때 - 100 %

2)한눈이 멀었을 때 - 50 %

3)한눈의 교정시력이 0.02이하로 된 때 - 35 %

4)                 0.06      ” - 25 %

5)                  0.1      ” - 15 %

6)                  0.2      ” - 5 %

7)한눈의 안구에 뚜렷한 운동장해나 뚜렷한 조절기능장해를 남긴 때 - 10 %

8)한눈의 시야가 좁아지거나 반맹증, 시야협착, 암점을 남긴 때 - 5 %

9) 한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결손을 남긴 때 - 10 %

10)한눈의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 - 5 %

 

.장해판정기준

1) 시력장해의 경우 공인된 시력검사표에 따라 측정한다.

2) 교정시력이라 함은 안경(콘택트렌즈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시력 교정수단)으로 교정한 시력을 말한다.

3) 한 눈이 멀었을 때라 함은 눈동자의 적출은 물론 명암을 가리지 못하거나(광각무)겨우 가릴 수 있는 경우(광각)를 말한다.

4) 안구운동장해의 판정은 외상후 1년 이상 지난 후에 그 장해정도를 평가한다.

5) “안구의 뚜렷한 운동장해라 함은 안구의 주시야의 운동범위가 정상의 1/2 이하로 감소된 경우나 정면 양안시시에서 복시(물체가 둘로 보이거나 겹쳐 보임)를 남긴 때를 말한다.

6) 안구의 뚜렷한 조절기능장해라 함은 조절력이 정상의 1/2 이하로 감소된 경우를 말한다.다만, 조절력의 감소를 무시할 수 있는 45세 이상의 경우에는 제외한다.

7) “시야가 좁아진 때 라 함은 시야각도의 합계가 정상시야의 60%이하로 제한된 경우를 말한다.

8) 눈꺼풀에 뚜렷한 결손을 남긴 때라 함은 눈꺼풀의 결손으로 인해 눈을 감았을 때 각막(검은 자위)이 완전히 덮여지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9) “눈꺼풀에 뚜렷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라 함은 눈을 떴을 때 동공을 1/2 이상 덮거나 또는 눈을 감았을 때 각막을 완전히 덮을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10) 외상이나 화상 등에 의하여 눈동자의 적출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외모의 추상(추한 모습)이 가산된다.이 경우 눈동자가 적출되어 눈자위의 조직요몰(凹沒)등에 의해 의안마저 삽입할 수 없는 상태이면 뚜렷한 추상(추한 모습)으로, 의안을 삽입할 수 있는 상태이면 약간의 추상(추한 모습)으로 지급률을 가산한다.

11) 눈꺼풀에 뚜렷한 결손을 남긴 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추상(추한 모습)장해를 포함하여 장해를 평가한 것으로 보고 추상(추한 모습)장해를 가산하지 않는다.다만, 안면부의 추상(추한 모습)은 두 가지 장해평가 방법 중 피보험자(보험대상자)에 유리한 것을 적용한다.

 

2. 귀의 장해

 

.장해의 분류

1)두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 80 %

2)한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고, 다른 귀의 청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 45 %

3)한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 - 25 %

4)한 귀의 청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 15 %

5)한 귀의 청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 5 %

6)한 귀의 귓바퀴의 대부분이 결손된 때 - 10 %

 

.장해판정기준

1) 청력장해는 순음청력검사 결과에 따라 데시벨(dB : decibel)로서 표시하고 3회 이상 청력검사를 실시한 후 순음평균역치에 따라 적용한다.

2) “한 귀의 청력을 완전히 잃었을 때라 함은 순음청력검사 결과 평균순음역치가 90dB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3) 심한 장해를 남긴 때라 함은 순음청력검사 결과 평균순음역치가 80dB이상인 경우에 해당되어, 귀에다 대고 말하지 않고는 큰소리를 알아듣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4)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라 함은 순음청력검사 결과 평균순음역치가 70dB이상인 경우에 해당되어, 50cm이상의 거리에서는 보통의 말소리를 알아듣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5) 순음청력검사를 실시하기 곤란하거나 검사결과에 대한 검증이 필요한 경우에는 언어청력검사, 임피던스 청력검사, 뇌간유발반응청력검사(ABR), 자기청력계기검사, 어음향방사검사 등을 추가실시 후 장해를 평가한다.

 

.귓바퀴의 결손

1) “귓바퀴의 대부분이 결손된 때라 함은 귓바퀴의 연골부가 1/2이상 결손된 경우를 말하며, 귓바퀴의 결손이 1/2미만이고 기능에 문제가 없으면 외모의 추상(추한 모습)장해로 평가한다.

 

3. 코의 장해

 

가. 장해의 분류

1)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 15 %

 

.장해판정기준

1)"코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라 함은 양쪽 코의 호흡곤란 내지는 양쪽 코의 후각기능을 완전히 잃은 경우를 말하며, 후각감퇴는 장해의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2)코의 추상(추한 모습)장해를 수반한 때에는 기능장해와 각각 더하여 지급한다.

 

4. 씹어먹거나 말하는 장해

 

.장해의 분류

1)씹어먹는 기능과 말하는 기능 모두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 100 %

2)씹어먹는 기능 또는 말하는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 80 %

3)씹어먹는 기능과 말하는 기능 모두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 40 %

4)씹어먹는 기능 또는 말하는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 20 %

5)씹어먹는 기능과 말하는 기능 모두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 10 %

6)씹어먹는 기능 또는 말하는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 5 %

7)치아에 14개 이상의 결손이 생긴 때 - 20 %

8)치아에 7개 이상의 결손이 생긴 때 - 10 %

9)치아에 5개 이상의 결손이 생긴 때 - 5 %

 

.장해의 평가기준

1)씹어먹는 기능의 장해는 상하치아의 교합(咬合), 배열상태 및 아래턱의 개폐운동, 연하(삼킴)운동 등에 따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결정한다.

2)“씹어먹는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라 함은 물이나 이에 준하는 음료 이외는 섭취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3)씹어먹는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라 함은 미음 또는 이에 준하는 정도의 음식물(죽 등)외는 섭취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4)“씹어먹는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라 함은 어느 정도의 고형식(, 빵 등)은 섭취할 수 있으나 이를 씹어 잘게 부수는 기능에 제한이 뚜렷한 경우를 말한다.

5)말하는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라 함은 다음 4종의 어음 중 3종 이상의 발음을 할 수 없게 된 경우를 말한다.

① 구순음(, , )

② 치설음(, , )

③ 구개음(, , )

④ 후두음(, )

6)“말하는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라 함은 위 5) 4종의 어음 중 2종 이상의 발음을 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7)“말하는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라 함은 위 5) 4종의 어음 중 1종의 발음을 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8)뇌의 언어중추 손상으로 인한 실어증의 경우에도 말하는 기능의 장해로 평가한다.

9)치아의 결손이란 치아의 상실 또는 치아의 신경이 죽었거나 1/3 이상이 파절된 경우를 말한다.

10)유상의치 또는 가교의치 등을 보철한 경우의 지대관 또는 구의 장착치와 포스트, 인레인만을 한 치아는 결손된 치아로 인정하지 않는다.

11)상실된 치아의 크기가 크든지 또는 치간의 간격이나 치아 배열구조 등의 문제로 사고와 관계없이 새로운 치아가 결손된 경우에는 사고로 결손된 치아 수에 따라 지급률을 결정한다.

12)어린이의 유치와 같이 새로 자라서 갈 수 있는 치아는 후유장해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13)신체의 일부에 탈착분리 가능한 의치의 결손은 후유장해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5. 외모의 추상(추한 모습)장해

 

.장해의 분류

1)외모에 뚜렷한 추상(추한 모습)을 남긴 때 - 15 %

2)외모에 약간의 추상(추한 모습)을 남긴 때 - 5 %

 

.장해판정기준

1)외모란 얼굴(, , , 입 포함), 머리, 목을 말한다.

2)“추상(추한 모습)장해라 함은 성형수술 후에도 영구히 남게 되는 상태의 추상(추한 모습)을 말하며, 재건수술로 흉터를 줄일 수 있는 경우는 제외한다.

3)추상(추한 모습)을 남긴 때라 함은 상처의 흔적, 화상 등으로 피부의 변색, 모발의 결손, 조직(, 피부 등)의 결손 및 함몰 등으로 성형수술을 하여도 더 이상 추상(추한 모습)이 없어지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뚜렷한 추상(추한 모습)

1)얼굴

① 손바닥 크기 1/2 이상의 추상(추한 모습)

② 길이 10cm 이상의 추상반흔(외모의/두부 또는 안면부 흉터)

③ 직경 5cm 이상의 조직함몰

④ 코의 1/2이상 결손

2)머리

① 손바닥 크기 이상의 반흔(흉터)및 모발결손

② 머리뼈의 손바닥 크기 이상의 손상 및 결손

3)

손바닥 크기 이상의 추상(추한 모습)

 

.약간의 추상(추한 모습)

1)얼굴

① 손바닥 크기 1/4 이상의 추상(추한 모습)

② 길이 5cm 이상의 추상반흔(외모의/두부 또는 안면부 흉터)

③ 직경 2cm 이상의 조직함몰

  ④ 코의 1/4이상 결손

2)머리

① 손바닥 1/2 크기 이상의 반흔(흉터), 모발결손

② 머리뼈의 손바닥 1/2 크기 이상의 손상 및 결손

3)

손바닥 크기 1/2 이상의 추상(추한 모습)

 

.손바닥 크기

“손바닥 크기라 함은 해당 환자의 수지를 제외한 수장부의 크기를 말하며, 통산 12세 이상의 성인에서는 8×10(1/2 크기는 40, 1/4 크기는 20), 611세의 경우는 6×8(1/2 크기는 24, 1/4 크기는 12), 6세 미만의 경우는 4×6(1/2 크기는 12, 1/4 크기는 6)로 간주한다.

 

6. 척추(등뼈)의 장해

 

.장해의 분류

1)척추(등뼈)에 심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 - 40 %

2)척추(등뼈)에 뚜렷한 운동장해를 남긴 때 - 30 %

3)척추(등뼈)에 약간의 운동장해를 남긴 때 - 10 %

4)척추(등뼈)에 심한 기형을 남긴 때 - 50 %

5)척추(등뼈)에 뚜렷한 기형을 남긴 때 - 30 %

6)척추(등뼈)에 약간의 기형을 남긴 때   - 15 %

7)심한 추간판탈출증(속칭 디스크) - 20 %

8)뚜렷한 추간판탈출증(속칭 디스크) - 15 %

9)약간의 추간판탈출증(속칭 디스크) - 10 %

 

.장해판정기준

1)척추(등뼈)는 경추(목뼈)이하를 모두 동일부위로 한다.

2)심한 운동장해

척추체(척추뼈 몸통)에 골절 또는 탈구로 인하여 4개 이상의 척추체(척추뼈 몸통)를 유합 또는 고정한 상태

3)뚜렷한 운동장해

① 척추체(척추뼈 몸통)에 골절 또는 탈구로 인하여 3개의 척추체(척추뼈 몸통)를 유합 또는 고정한 상태

② 머리뼈와 상위경추(상위목뼈: 1,2목뼈)간의 뚜렷한 이상전위가 있을 때

4)약간의 운동장해

척추체(척추뼈 몸통)에 골절 또는 탈구로 인하여 2개의 척추체(척추뼈 몸통)를 유합 또는 고정한 상태

5)심한 기형

척추의 골절 또는 탈구 등으로 인하여 35° 이상의 전만증 및 척추후만증(척추가 뒤로 휘어지는 증상)또는 20° 이상의 척추측만증(척추가 옆으로 휘어지는 증상)변형이 있을 때

6)뚜렷한 기형

척추의 골절 또는 탈구 등으로 인하여 15° 이상의 전만증 및 척추후만증(척추가 뒤로 휘어지는 증상)또는 10° 이상의 척추측만증(척추가 옆으로 휘어지는 증상)변형이 있을 때

7)약간의 기형

1개 이상의 척추의 골절 또는 탈구로 인하여 경도(가벼운 정도)의 전만증 및 척추후만증(척추가 뒤로 휘어지는 증상)또는 척추측만증(척추가 옆으로 휘어지는 증상)변형이 있을 때

8)심한 추간판탈출증(속칭 디스크)

추간판탈출증(속칭 디스크)으로 인하여 추간판을 2마디이상 수술하거나 하나의 추간판이라도 2회이상 수술하고 마미신경증후군이 발생하여 하지의 현저한 마비 또는 대소변의 장해가 있는 경우

9)뚜렷한 추간판탈출증(속칭 디스크)

추간판 1마디를 수술하여 신경증상이 뚜렷하고 특수 보조검사에서 이상이 있으며, 척추신경근의 불완전 마비가 인정되는 경우

10)약간의 추간판탈출증(속칭 디스크)

특수검사(뇌전산화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에서 추간판 병변이 확인되고 의학적으로 인정할 만한 하지방사통(주변부위로 뻗치는 증상)또는 감각 이상이 있는 경우

11)추간판탈출증(속칭 디스크)으로 진단된 경우에는 수술여부에 관계없이 운동장해 및 기형장해로 평가하지 아니한다.

 

7. 체간골의 장해

 

.장해의 분류

1)어깨뼈나 골반뼈에 뚜렷한 기형을 남긴 때 - 15 %

2)빗장뼈, 가슴뼈, 갈비뼈에 뚜렷한 기형을 남긴 때 - 10 %

 

.장해판정기준

1)“체간골”이라 함은 어깨뼈, 골반뼈, 빗장뼈, 가슴뼈, 갈비뼈를 말하며, 이를 모두 동일부위로 한다.

2)"골반뼈의 뚜렷한 기형이라 함은 아래와 같다.

① 천장관절 또는 치골문합부가 분리된 상태로 치유되었거나 좌골이 2.5cm 이상 분리된 부정유합 상태 또는 여자에 있어서 정상분만에 지장을 줄 정도의 골반의 변형이 남은 상태

② 나체가 되었을 때 변형(결손을 포함)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정도를 말하며, 방사선 검사를 통하여 측정한 각 변형이 20° 이상인 경우

3)빗장뼈, 가슴뼈, 갈비뼈 또는 어깨뼈에 뚜렷한 기형이 남은 때라 함은 나체가 되었을 때 변형(결손을 포함)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정도를 말하며, 방사선 검사를 통하여 측정한 각 변형이 20°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4)갈비뼈의 기형은 그 개수와 정도, 부위 등에 관계없이 전체를 일괄하여 하나의 장해로 취급한다.

 

8. 팔의 장해

 

.장해의 분류

1)두팔의 손목이상을 잃었을 때 - 100 %

2)한팔의 손목이상을 잃었을 때 - 60 %

3)한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 30 %

4)한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 20 %

5)한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 10 %

6)한팔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 5 %

7)한팔에 가관절이 남아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 20 %

8)한팔에 가관절이 남아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 10 %

9)한팔의 뼈에 기형을 남긴 때 - 5 %

 

.장해판정기준

      1)골절부에 금속내고정물 등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그것이 기능장해의 원인이 되는 때에는 그 내고정물 등이 제거된 후 장해를 판정한다.

2)관절을 사용하지 않아 발생한 기능장해(예컨대 캐스트로 환부를 고정시켰기 때문에 치유후의 관절에 기능장해가 생긴 경우)와 일시적인 장해에 대하여는 장해보상을 하지 아니한다.

3)이라 함은 어깨관절(肩關節)부터 손목관절까지를 말한다.

4)“팔의 3대관절이라 함은 어깨관절, 팔꿈치관절 및 손목관절을 말한다.

5)“한팔의 손목이상을 잃었을 때라 함은 손목관절로부터 심장에 가까운 쪽에서 절단된 때를 말하며, 팔꿈치 관절 상부에서 절단된 경우도 포함된다.

6)팔의 관절기능 장해 평가는 팔의 3대관절의 관절운동범위 제한 등으로 평가한다.각 관절의 운동범위 측정은 미국의사협회(A.M.A.)영구적 신체장해 평가지침의 정상각도 및 측정방법 등을 따르며,  관절기능 장해를 표시할 경우에는 장해부위의 장해각도와 정상부위의 측정치를 동시에 판단하여 장해상태를 명확히 한다.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라 함은

① 완전 강직(관절굳음)또는 인공관절이나 인공골두를 삽입한 경우

② 근전도 검사상 완전마비 소견이 있고 근력검사에서 근력이 0등급(Zero)인 경우

)심한 장해라 함은

① 해당 관절의 운동범위 합계가 정상운동범위의 1/4이하로 제한된 경우

② 근전도 검사상 심한 마비 소견이 있고 근력검사에서 근력이 1등급(Trace)"인 경우

)뚜렷한 장해”라 함은

① 해당 관절의 운동범위 합계가 정상운동범위의 1/2 이하로 제한된 경우

)약간의 장해”라 함은

① 해당 관절의 운동범위 합계가 정상운동범위의 3/4 이하로 제한된 경우

7)가관절이 남아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라 함은 상완골에 가관절이 남은 경우 또는 요골과 척골의 2개뼈 모두에 가관절이 남은 경우를 말한다.

8)“가관절이 남아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라 함은 요골과 척골중 어느 한 뼈에 가관절이 남은 경우를 말한다.

9)뼈에 기형을 남긴 때라 함은 상완골 또는 요골과 척골에 변형이 남아 정상에 비해 부정유합된 각 변형이 15°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지급률의 결정

1)1상지(팔과 손가락)의 후유장해 지급률은 원칙적으로 각각 더하되, 지급률은 60% 한도로 한다.

2)한 팔의 3대 관절중 1관절에 기능장해가 생기고 다른 1관절에 기능장해가 발생한 경우 지급률은 각각 적용하여 더한다.

 

9. 다리의 장해

 

.장해의 분류

1)두다리의 발목이상을 잃었을 때 - 100 %

2)한다리의 발목이상을 잃었을 때 - 60 %

3)한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 - 30 %

4)한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심한 장해를 남긴 때 - 20 %

5)한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 10 %

6)한다리의 3대관절중 1관절의 기능에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 5 %

7)한다리에 가관절이 남아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 20 %

8)한다리에 가관절이 남아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 - 10 %

9)한다리의 뼈에 기형을 남긴 때 - 5 %

10)한다리가 5cm 이상 짧아진 때 - 30 %

11)한다리가 3cm 이상 짧아진 때 - 15 %

12)한다리가 1cm 이상 짧아진 때 - 5 %

 

.장해판정기준

      1)골절부에 금속내고정물 등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그것이 기능장해의 원인이 되는 때에는 그 내고정물 등이 제거된 후 장해를 판정한다.

2)관절을 사용하지 않아 발생한 기능장해(예컨대 캐스트로 환부를 고정시켰기 때문에 치유후의 관절에 기능장해가 생긴 경우)와 일시적인 장해에 대하여는 장해보상을 하지 아니한다.

3)다리라 함은 엉덩이관절(股關節)로부터 발목관절까지를 말한다.

4)“다리의 3대 관절이라 함은 고관절, 무릎관절 및 발목관절을 말한다.

5)한다리의 발목이상을 잃었을 때라 함은 발목관절로부터 심장에 가까운 쪽에서 절단된 때를 말하며, 무릎관절의 상부에서 절단된 경우도 포함된다.

6)다리의 관절기능 장해 평가는 하지의 3대관절의 관절운동범위 제한 및 동요성 유무 등으로 평가한다.각 관절의 운동범위 측정은 미국의사협회(A.M.A.)영구적 신체장해 평가지침의 정상각도 및 측정방법 등을 따르며, 관절기능 장해를 표시할 경우에는 장해부위의 장해각도와 정상부위의 측정치를 동시에 판단하여 장해상태를 명확히 한다.

)기능을 완전히 잃었을 때라 함은

① 완전 강직(관절굳음)또는 인공관절이나 인공골두를 삽입한 경우

② 근전도 검사상 완전마비 소견이 있고 근력검사에서 근력이 “0등급(Zero)"인 경우

)심한 장해”라 함은

① 해당 관절의 운동범위 합계가 정상운동범위의 1/4이하로 제한된 경우

② 객관적 검사(스트레스 엑스선) 15mm 이상의 동요관절(관절이 흔들리거나 움직이는 것)이 있는 경우

③ 근전도 검사상 심한 마비 소견이 있고 근력검사에서 근력이 1등급(Trace)"인 경우

)뚜렷한 장해”라 함은

① 해당 관절의 운동범위 합계가 정상운동범위의 1/2 이하로 제한된 경우

② 객관적 검사(스트레스 엑스선) 10mm 이상의 동요관절(관절이 흔들리거나 움직이는 것)이 있는 경우

)약간의 장해”라 함은

① 해당 관절의 운동범위 합계가 정상운동범위의 3/4 이하로 제한된 경우

② 객관적 검사(스트레스 엑스선) 5mm 이상의 동요관절(관절이 흔들리거나 움직이는 것)이 있는 경우

7)"가관절이 남아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라 함은 대퇴골에 가관절이 남은 경우 또는 경골과 종아리뼈의 2개뼈 모두에 가관절이 남은 경우를 말한다.

8)"가관절이 남아 약간의 장해를 남긴 때"라 함은 경골과 종아리뼈중 어느 한 뼈에 가관절이 남은 경우를 말한다.

9)"뼈에 기형을 남긴 때"라 함은 대퇴골 또는 경골에 기형이 남아 정상에 비해 부정유합된 각 변형이 15°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10)다리의 단축은 상전장골극에서부터 경골내측과 하단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여 정상측 다리의 길이와 비교하여 단축된 길이를 산출한다.

다리 길이의 측정에 이용하는 골표적(bony landmark)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나 다리의 단축장해 판단이 애매한 경우에는 scanogram을 통하여 다리의 단축정도를 측정한다.

 

.지급률의 결정

1)1하지(다리와 발가락)의 후유장해 지급률은 원칙적으로 각각 더하되, 지급률은 60% 한도로 한다.

2)한 다리의 3대 관절중 1관절에 기능장해가 생기고 다른 1관절에 기능장해가 발생한 경우 지급률은 각각 적용하여 더한다.

 

10. 손가락의 장해

 

.장해의 분류 

1)한손의 5개 손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  55 %

2)한손의 첫째 손가락을 잃었을 때 - 15 %

3)한손의 첫째 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을 잃었을 때(1손가락 마다) - 10 %

4)한손의 5개손가락 모두의 손가락뼈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 30 %

5)한손의 첫째 손가락의 손가락뼈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 10 %

6)한손의 첫째 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의 손가락뼈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1손가락 마다) - 5 %

 

.장해판정기준

1)손가락에는 첫째 손가락에 2개의 손가락관절이 있다.그중 심장에서 가까운 쪽부터 중수지관절, 지관절이라 한다.

2)다른 네 손가락에는 3개의 손가락관절이 있다.그 중 심장에서 가까운 쪽부터 중수지관절, 1지관절(근위지관절)및 제2지관절(원위지관절)이라 부른다.

3)“손가락을 잃었을 때라 함은 첫째 손가락에 있어서는 지관절로부터 심장에서 가까운 쪽에서, 다른 네 손가락에서는 제1지관절(근위지관절)로부터 심장에서 가까운 쪽으로 손가락을 잃었을 때를 말한다.

4)“손가락뼈 일부를 잃었을 때라 함은 첫째 손가락의 지관절, 다른 네 손가락의 제1지관절(근위지관절)로부터 심장에서 먼쪽으로 손가락뼈를 잃었거나 뼈조각이 떨어져 있는 것이 엑스선 사진으로 명백한 경우를 말한다.

5)“손가락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라 함은 손가락의 생리적 운동영역이 정상 운동가능영역의 1/2 이하가 되었을 때이며 이 경우 손가락관절의 굴신운동 가능영역에 의해 측정한다. 첫째 손가락 이의의 다른 네 손가락에 있어서는 제1, 2지관절의 굴신운동영역을 더하여 정상운동영역의 1/2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6)한 손가락에 장해가 생기고 다른 손가락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 지급률은 각각 적용하여 더한다.

 

11. 발가락의 장해

 

.장해의 분류

1)한발의 리스프랑관절 이상을 잃었을 때 - 40 %

2)한발의 5개발가락을 모두 잃었을 때  - 30 %

3)한발의 첫째발가락을 잃었을 때 - 10 %

4)한발의 첫째발가락 이외의 발가락을 잃었을 때(1발가락마다) - 5 %

5)한발의 5개발가락 모두의 발가락뼈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 20 %

6)한발의 첫째발가락의 발가락뼈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 - 8 %

7)한발의 첫째발가락 이외의 발가락의 발가락뼈 일부를 잃었을 때 또는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1발가락마다) - 3 %

 

.장해판정기준

1)“발가락을 잃었을 때라 함은 첫째 발가락에서는 지관절로부터 심장에 가까운 쪽을, 나머지 네 발가락에서는 제1지관절(근위지관절)로부터 심장에서 가까운 쪽에서 잃었을 때를 말한다.

2)리스프랑 관절 이상에서 잃은 때라 함은 족근-중족골간 관절 이상에서 절단된 경우를 말한다.

3)“발가락뼈 일부를 잃었을 때라 함은 첫째 발가락에 있어서는 지관절, 다른 네 발가락에 있어서는 제1지관절(근위지관절)로부터 심장에서 먼쪽에서 발가락뼈를 잃었을 때를 말하고 단순히 살점이 떨어진 것만으로는 대상이 되지 않는다.

4)“발가락에 뚜렷한 장해를 남긴 때라 함은 발가락의 생리적 운동 영역이 정상 운동가능영역의 1/2 이하가 되었을 때를 말하며, 이 경우 발가락의 주된 기능인 발가락 관절의 굴신기능을 측정하여 결정한다.

5)한 발가락에 장해가 생기고 다른 발가락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 지급률은 각각 적용하여 더한다.

 

 

반응형

'Story - 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G대중교통무료상해보험 이용약관  (0) 2013.04.04
Posted by 9won
,